[산업안전보건] 한문철의 현장 속으로_근로자정기교육 하반기(산업재해미발생사업장)_기타업(사무직외) 3차시 평가
2024. 12. 20. 10:08ㆍ산업안전보건
과정명: [산업안전보건] 한문철의 현장 속으로_근로자정기교육 하반기(산업재해미발생사업장)_기타업(사무직외)_PC전용
평가명: 3차시 평가
뇌심혈관질환 관리와 예방
정답1 다음은 뇌심혈관질환의 요인에서 교정할 수 없는 요인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획득 20 점 / 배점 20 점)
- 1 유전적 요인
- 2 연령
- 3 성별
- 4 기초질환(고혈압, 당뇨 등) 정답
정답해설
기초질환(고혈압, 당뇨 등)은 교정할 수 있는 요인입니다.
정답2 다음은 뇌심혈관질환 중 뇌혈관질환의 전조증상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획득 20 점 / 배점 20 점)
- 1 갑자기 팔, 손, 다리에 힘이 빠지고 약해진 느낌, 저림
- 2 얼굴이나 몸 한쪽에 느낌이 없음
- 3 갑자기 한쪽 눈이 보이지 않음
- 4 가슴에 압박감과 통증이 옴 정답
정답해설
가슴에 압박감과 통증은 심혈관질환의 전조증상입니다.
정답3 다음은 뇌심혈관질환의 관리에서 회사적 차원에서의 관리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획득 20 점 / 배점 20 점)
- 1 근로자 건강관리로 역학적조사, 사업장 건강진단 등으로 관리할 수 있다.
- 2 산업안전보건법에서 보건관리 사항의 준수 등으로 관리할 수 있다.
- 3 작업환경 개선으로 관리할 수 있다.
- 4 근로자 기초질환 관리로 관리할 수 있다. 정답
정답해설
근로자 기초질환 관리는 개인적 차원에서의 관리방법입니다.
정답4 다음은 직업성 심혈관계질환의 원인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획득 20 점 / 배점 20 점)
- 1 집단적 작업환경 요인으로 개별 노동자의 작업과정에 주목하기보다는 개별 노동자가 처해 있는 집단적 작업환경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말한다.
- 2 집단적 작업환경 요인으로 사회 전체적으로 이 질병이 증가하는지, 어떤 집단에서, 어떤 노동환경의 변화가 이를 촉발하는지 등 질병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는 관점이다.
- 3 집단적 작업환경 요인으로 개인의 유전적 감수성과 좋지 않은 건강행위에 의해 이 질환이 발생한다는 관점으로 흡연, 음주, 기존의 질병(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운동부족, 비만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 정답
- 4 집단적 작업환경 요인으로 심혈관계 질환이 근골격계 직업병과 같이 기본적 원천은 노동과정의 구조적 변화와 노동강도의 증가에 있다고 보는 견해이다.
정답해설
개인의 유전적 감수성과 좋지 않은 건강행위에 의해 이 질환이 발생한다는 관점으로 흡연, 음주, 기존의 질병(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운동부족, 비만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는 것은 개인적 요인에 속합니다.
정답5 다음은 업무상 질병 중 어떤 질병에 대한 설명인가?
인체의 가장 중요한 장기에 분포된 혈관에 발생하는 질병으로, 심근경색, 협심증과 같은 허혈성 심장질환 등의 심장질환과 뇌내출혈, 뇌경색과 같은 뇌졸중 등의 뇌혈관질환과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동맥경화증 등의 선행질환을 총칭합니다. (획득 20 점 / 배점 20 점)
- 1 직무스트레스질환
- 2 뇌심혈관질환 정답
- 3 근골격계질환
- 4 직업성 암
정답해설
뇌심혈관질환에 대한 설명입니다.
'산업안전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보건] 한문철의 현장 속으로_근로자정기교육 하반기(산업재해미발생사업장)_기타업(사무직외) 5차시 평가 (0) | 2024.12.20 |
---|---|
[산업안전보건] 한문철의 현장 속으로_근로자정기교육 하반기(산업재해미발생사업장)_기타업(사무직외) 4차시 평가 (1) | 2024.12.20 |
[산업안전보건] 한문철의 현장 속으로_근로자정기교육 하반기(산업재해미발생사업장)_기타업(사무직외) 2차시 평가 (0) | 2024.12.17 |
[산업안전보건] 한문철의 현장 속으로_근로자정기교육 하반기(산업재해미발생사업장)_기타업(사무직외) 1차시 평가 (2) | 2024.12.17 |
[산업안전보건] 한문철의 현장 속으로_근로자정기교육 상반기(산업재해미발생사업장)_기타업(사무직외) (0) | 2024.06.17 |